김희욱
아쉬움의 발로
2012.03.30-04.12
Opening Reception 03.30 6pm
reality_목재, 조명물_122x220x110cm_2012
공감은 호감의 원초다. 김희욱의 작품을 좋아하는 난 애초에 그녀의 작품에서 나를 보았는지 모른다. 전시에 관련한 작품이야기를 처음 해주던 그녀는 매우 자신있어 보였다. 그녀의 반짝이는 눈을 보며 작품 이야기에 집중하던 나는 마음 한 구석이 선득해지기도 하고 허탈해지기도 했다. 김희욱의 작품이야기가 나를 선득하고 허탈하게 한 것은 그것이 곧 나의 문제임을 알아챘기 때문이다. 작가가 짚어놓은 시대의 상실이 되찾기에 매우 어려운 것들이고 또한 그런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으로서 불편함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 작가는 그 동안 눈감아 왔던 혹은 언젠가 나와 분명히 마주하게 될 불편함을 내 발 앞에 툭 던져놓고 다음을 기약했다. (그 날 만큼은 나에게 무책임했던) 그녀가 떠나고도 나는 계속 발 앞의 불편함을 생각했다. 이 불편함을 치워 버릴 방법이 없을까. 글을 쓰는 이 순간에도 작가가 던져놓은 불편함은 내 머릿속을 헤집는다.
실패없는 삶을 지향하는 실패하는 삶_포장재료_가변크기_2012
Paradise_목재, 코팅 된 유포지_55x30x227cm_2012
김희욱의 작품은 삶의 파편처럼 저마다 의미를 담고 있다. 시대와 삶은 박자를 맞춰가며 움직여야 하지만 가속화 된 시대는 개개인의 삶을 버겁고 힘겨운 것으로 만들었다. 삶에 지친 사람들은 살면서 꼭 지켜야 하는 소중한 것들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마치 속도 조절에 실패하여 제자리에서 이탈해 버린 컨베이어벨트와도 같다. 지금의 우리는 (적어도 나는) 일상에서 휴식을 즐기기에 너무 멀리 와있는 지도 모른다. 잠시만 속도를 늦춰도 숨통을 조이는 도시는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영유해야 하는 휴식을 꿈꿔야 하는 것으로 만들었다. 도시의 자본은 그것을 거리로 삼아 조악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탐하기도 한다. 도시 진천에 깔린 휴식의 판타지는 아주 단순한 방식으로 사람들을 농락하고 있다. 작품 <Paradise, 2012>는 얄팍한 도시가 내놓은 휴식의 판타지에 대한 대안의 대표적인 수단을 보여준다. 문제는 도시라는 공간뿐만이 아니다. 성공에 혈안이 된 이 시대의 사람들은 (나도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실패에 매우 인색하다. 삶의 가치는 성공이라는 잣대에 기준하고 사람들은 실패하지 않기 위해 힘든 앙감질을 한다. 작가는 작품 <실패 없는 삶을 지향하는 실패하는 삶, 2012>으로 묻는다. 과연 실패 없는 성공이 가능한가. 또 성공을 위해 선택하지 않은 것들에서 우리가 놓친 것은 무엇인가. 지금 우리는 실패가 두려운 까닭에 성공의 지름길을 보지 못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작가는 이럴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한 아쉬움을 장난기가 섞인 작품으로 익살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조각1_에폭시_46.5x61cm_2012